정량적 발한운동 축삭 반응 검사(QSART)


소개


정량적 발한운동 축삭 반응 검사(QSART)는 축삭 반응과 함께 통합적 신경절 후 발한 운동 시스템을 평가하여 한선 소실의 분포를 정의하는 검사이다. 이는 아세틸콜린을 피부에 방출하여 외분비 한선에 있는 수용체를 활성화하여 이루어진다. 한선 반응은 네 개 부위(팔뚝과 하지의 세 개 부위)로부터 기록되어 부족량이 평가된다.

QSART는 땀 분비를 조절하는 자율신경을 측정하는 검사이다. 이 검사는 자율신경 시스템 장애, 말초 신경장애 및 일부 통증 장애의 평가에 유용하다. 이 검사는 피부에 대한 이온 전리라고 부르는 경한 전기적 자극이 필요로 하며 저절로 생기는 화학 물질인 아세틸콜린이 한선을 자극하게 한다. QSART는 이 자극으로 생긴 땀의 양을 측정한다.

QSART는 다음의 진단에 쓰인다:

- 신경 전도성 검사 결과가 정상일 때의 통증성 소섬유 신경장애
- 한선, 심장, 소화기, 기타 장기 및 혈압을 조절하는 자율신경 시스템의 장애
- 복합 통증 장애
- 당뇨병성 신경병증
- 효소 장애
- 반사성 교감신경성 이영양증(Reflex Sympathetic Dystrophy, RSD)
- 자율 신경 장애
- 약물 제제
- 화장품/소비재 시험
- 피부과 연구
- 다계통 위축증(샤이 드레거 증후군)

이론적 배경과 방법


정량적 발한운동 축삭 반응 검사(QSART)는 1983년부터 신경절 후의 발한 운동 기능의 임상 실험실 테스트을 정례화하였다. QSART는 신경절 후 교감신경 축삭의 온정성을 평가하도록 설계되었다. 국부적 실험 부위에서 다중 구분 한선 세포가 사지에 부착된다. 한 부분의 한선 세포 축삭 말단이 아세틸콜린(ACh)의 이온 전리의 자극을 받아 각 부분 한선 세포의 땀 분비 반응을 각각 기록한다. 보통 네 개의 부위를 검사한다(한 곳은 팔뚝 그리고 기타 세 곳은 다리).

얇은 섬유의 기능 조사에는 간단한 정량적 감각 측정 검사(QST)를 위한 주관적 검사와 땀 생성에 대한 객관적 검사가 있다. 땀 생성의 기초 값과 국부적인 화확 물질 혹은 전기 자극에 대한 반응은 신경절 후의 교감신경성 발한 운동 신경의 기능을 표현한다. 땀 생성은 아세틸콜린의 이온 전리 후 실리콘 땀 방울 자국을 촬영(Gibbons 외, 2008)하고 감응된 땀 분비의 축삭 반응 구역을 판독(요오드 녹말 반응)(Schlereth 외, 2005; Namer 외, 2004; Riedl 외, 1998)하거나 이 구역의 총 땀 생성량을 측정(정략적 발한 운동 축삭 반응 검사, QSART)( Low 외, 1983)하는 것을 통하여 분석할 수 있다. 아세틸콜린으로 유도한 QSART는 얇은 섬유 신경장애에서 임상적으로 발한 운동 기능 장애를 평가하는 데 광범하게 사용된다. 아세틸콜린을 이용한 화학적 자극은 환자에게 너무 강력하며 내성이 강하다. 구성 분석을 위하여 피부 생체검사에서 표피 신경 섬유와 한선의 정량 밀도가 진단적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예. 당뇨병성 신경병증(Kennedy 외, 1996; Gibbons 외, 2009). 교감신경 섬유의 축삭돌기 흥분성은 다른 하나의 유용한 임상 지표로 될 것이다. 특히 피부홍통증(Waxman, 2007; Cummins 외, 2004)과 같은 이런 축삭돌기 나트륨 채널과 관련되었으며 또한 비정상적인 교감신경 피부 반응과 연관(Kazemi 외, 2003)되어 있는 질병이 그에 해당한다.

축삭돌기 흥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경피성 전기적 자극기를 사용하여 발안 운동과 침해수용체 활성화를 함께 유도하는 데 사용하였다. 이 때문에 축삭 반응성 발한 강도와 축삭 반응성 홍진 부위가 정량화될 수 있었다(Namer 외, 2004). 축삭 반응성 홍진 반응의 측정은 정상상태 조건에서 주로 사용되어 몇 분간의 전기적 자극을 요구한다. 따라서 전류 세기 혹은 주파수를 측정하는 교감신경의 자극 반응 기능 분석은 이런 길어진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이 문제가 될 수 있다. 하여 우리는 30초의 전기 자극에 대한 순간적인 한선 반응과 통증에 대해 평가하였다. 다양한 신체 부위에서의 전류의 세기와 주파수 관련 반응 곡선에 의하여 다양한 축삭돌기 흥분성과 활성화 프로필이 탐사되었으며 발한 운동 신경과 침해수용기의 기능들이 묘사되었다.

이는 민감성이 높고 재현성과 정량성이 있는 방법으로서 발한 운동 기능을 검사한다. 다중격실의 플라스틱"한선 세포"가 피부에 긴밀하게 부착된다. 격실의 외부는 아세틸콜린 솔루션으로 채워져 있고 질소 가스가 지속해서 격실 안쪽 보내지면서 습도(발한 운동)의 변화를 측정한다. 직류전기가 보내지고 격실 안쪽에서 자극 전, 도중, 후의 수분 함량을 측정한다. 이 검사의 기초는 격실 외부 아래의 한선의 축삭 말단이 아세틸콜린 이온 전리로 활성화되는 것이다; 이 충격은 중심으로는 분지점, 바깥쪽으로는 아세틸콜린이 방출된 내부 격실 밑에 있는 축삭 말단으로 보내져서 발한 반응을 일으킨다. "축삭 반응"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것은 맞지 않을 수 있다. 그것은 오직 신경절 후의 교감신경 발한 운동 축삭만 이 설정에 참여한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자극 유도를 한 후 1~2분의 잠복기를 거치고 계속되는 자극하에 땀 생성이 빠르게 증가한다; 그리고 자극을 멈추고 땀 생성은 3분 내로 검사 전 기초 값으로 돌아간다. 곡선 아래의 면적은 전체 땀 생성량을 매 제곱 센치미터의 마이크로 리터 단위로 보여준다. 정상값은 검사 부위, 성별 및 연령에 따라 다르다. 말단 사지, 남성, 젊은 사람들의 땀이 더 많은 경향을 보인다. 반응이 감소하거나 없는 경우는 신경절 후 장애를 표시한다. 정상 반응은 신경절 전의 참여를 배제하지 않는다. 과도하고 지속적인 발한 역시 비정상으로 간주한다. 두 사지를 비교하여 25% 이상의 불균형을 보이면 비정상으로 간주한다.





Designed for Clinicians, by Clinicians